공부의철학표지.png
정일두(RealIdeal)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을 전공하며 사회 문제 해결을 고민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책학을 공부하며 체계적인 사고 방식을 익혔습니다. 서울대학교 정책연구소 연구원 시절에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설계하는 법을 배웠고, 국가과학기술정책연구기관 연구원으로 일하며 과학기술과 교육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공부는 연구실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닙니다. 대학생 행정 참여 NGO 기획팀장으로 활동하며 직접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했고, 이후 한 에듀테크 기업의 콘텐츠팀 팀장으로 일하며 미래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를 생산했습니다.

오랜 시간, 논술 및 학습법 강사이자 입시 컨설턴트로서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를 만나면서 공부의 본질과 괴리된 현실을 보다 가까이에서 들여다보았습니다.
 
현재는 희망찬미래교육연구소 소장으로서 ‘공부의 철학’과 ‘학습의 원리’를 연구하며, ‘공부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지형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왜 공부하는가?”, “공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단순한 공부법 너머로 이끌어가며, 학생과 교사, 학부모와 자기계발 독자 모두를 위한 공부철학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고려대학교 행정학 학사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정책학 석사
서울대학교 정책 연구소 연구원
행정 참여 대학생 NGO 기획팀장 
국가 과학기술 정책연구기관 연구원
에듀테크 기업 콘텐츠팀 팀장
희망찬미래교육연구소 소장

도서 구입하기
​​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6_(1).png


“어떻게”보다 “왜”를 먼저 알면 성과는 빨라집니다.

이 강의는 공부의 의미를 붙잡고 공부의 과정(배우고–익히고–익숙해지기)과 공부의 단계(학습→연구→활용)를 한눈에 정리한 뒤, 공부의 두 축으로 방향을 세웁니다. 속도·양에 치우치는 공부의 극단성을 바로잡고, 수면·호흡·리듬으로 공부와 피로를 관리하여 공부의 동력(체력→정신력→호기심)을 점화합니다. 마지막으로 타인의 비법을 좇는 공부법 무용론을 넘어 “우리에게 맞는 원리형 루틴”을 설계합니다.

  • #1-1 공부에 관한 공부 / #1-2 알고 하는 공부 / #1-3 공부의 의미 / #1-4 집짓기와 공부하기 / #1-5 공부의 과정 / #1-6 공부의 단계 / #1-7 공부의 두 축 / #1-8 공부의 극단성 / #1-9 공부와 피로 / #1-10 공부의 동력 / #1-11 공부법 무용론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7.png


정보는 넘치지만 “연결”이 부족합니다.

이 강의는 지식의 본질을 “개념의 관계망”으로 재정의하고, 지식의 원뿔(현상–개념–진리)로 사고를 구조화합니다. 언어·기호로 드러나는 지식의 모습을 점검하고, 새로운 연결이 태어나는 지식의 확장 메커니즘을 실습으로 체득합니다. 앎의 의미를 “행동의 변화”로, 지식의 힘을 “문제 해결 능력”으로 번역하며, 정확한 지식과 개념(정의·반례·근거)의 설계를 훈련합니다.

  • #2-1 지식의 시작 / #2-2 지식의 본질 / #2-3 지식의 원뿔 / #2-4 지식의 모습 / #2-5 지식의 확장 / #2-6 앎의 의미 / #2-7 지식의 힘 / #2-8 지식과 개념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8.png


연구는 '지식을 밝히는 사람'입니다.

이 강의는 연구의 본질(가설→검증→이론)을 생활 루틴으로 옮기고, 명료한 개념 설명(정의·범주·관계)과 개념의 본질(추상↔구체의 왕복)로 질문의 질을 끌어올립니다. 학문의 나침반이 되는 학문의 목표와, 축적·반증이 움직이는 학문의 지속성, 연구자의 태도를 규정하는 학문의 길을 한 흐름에 담습니다. ‘세상을 밝히는 지식’을 찾고 만드는 연구자의 의미와 가치를 전합니다.

  • #3-1 연구의 본질 / #3-2 개념 설명 / #3-3 개념의 본질 / #3-4 학문의 목표 / #3-5 학문의 지속성 / #3-6 학문의 길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9_(1).png


학습은 배움과 익힘으로 완성됩니다. 

이 강의는 학습의 시작을 현상 관찰과 좋은 질문에서 열고, 이야기의 힘으로 몰입을 끌어올린 뒤, 다양한 텍스트를 교차해 관점을 확장합니다. 교사·학습자 모두에게 필요한 지식의 전달(설명–예시–반례)과 과학적 배움의 방법(간격 반복·점진 난이도)을 구조화하고, 읽기와 쓰기로 입력–정리–전이를 연결합니다. “가르칠 수 있으면 배운 것”이라는 학습의 끝을 실습으로 증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구와 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합니다.

  • #4-1 학습의 두 축 / #4-2 학습의 시작 / #4-3 이야기의 힘 / #4-4 다양한 텍스트 / #4-5 지식의 전달 / #4-6 배움의 방법 / #4-7 읽기와 쓰기 / #4-8 학습의 끝 / #4-9 학습의 완결 / #4-10 연구와 학습의 상호작용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10_(2).png


학교 생활은 수업이 중심입니다.

이 강의에서는 성적 향상의 원리(배우고–익히고–익숙해지기)로 출발해 학습 방법과 시험 점수의 인과를 투명하게 연결하고, 표현력을 좌우하는 좋은 글의 기준을 장착합니다. 수업의 존재 이유를 재발견하는 수업의 가치, 전·중·후를 최적화하는 학교 수업을 잘 듣는 법과 수업 듣기의 자세를 실전으로 훈련합니다. 이어 과목의 심장을 이해하는 과목의 본질(국어·영어·수학·과학·사회)과, 실행으로 옮기는 각 과목 공부의 본질을 정리합니다. 수업 자료의 쓸모를 극대화하고, 학교 시험을 잘 보는 법과 수능 시험을 잘 보는 법을 ‘오답 이유–교정’ 프로토콜과 복기 루틴으로 시스템화합니다. 그 결과로 과목별 회로·노트·시험 루틴이 한 세트로 완성됩니다.

  • #5-1 성적 향상의 원리 / #5-2 학습 방법과 시험 점수 / #5-3 좋은 글의 기준 / #5-4 수업의 가치 / #5-5 학교 수업을 잘 듣는 법 / #5-6 수업 듣기의 자세 / #5-7 과목, 국어의 본질 / #5-8 과목, 영어의 본질 / #5-9 과목, 수학의 본질 / #5-10 과목, 과학의 본질 / #5-11 과목, 사회의 본질 / #5-12 국어 공부의 본질 / #5-13 영어 공부의 본질 / #5-14 수학 공부의 본질 / #5-15 과학 공부의 본질 / #5-16 사회 공부의 본질 / #5-17 수업 자료의 쓸모 / #5-18 학교 시험을 잘 보는 법 / #5-19 수능 시험을 잘 보는 법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11_(1).png


우리 교육의 문제와 해결을 고민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우리 교육의 현실과 이상을 다룹니다. 이를 위해서 교육의 목적을 다시 묻고, 교육의 주인을 학습자 중심으로 되돌리기를 제안합니다. 현장을 떠난 버림받은 교과서를 되살리고, ‘줄 세우는’ 대신 길을 비추는 평가와 인재의 기준을 세웁니다. 마지막으로 사고의 근육을 키우는 글 읽기의 의미를 수업 루틴에 심어 현실과 이상을 잇습니다. 궁극적으로 학생을 가운데 두는 참여·평가·텍스트 설계가 필요함을 주장합니다.

  • #6-1 교육의 목적 / #6-2 교육의 주인 / #6-3 학생과 선생님 / #6-4 창의력 유감 / #6-5 교과서 속 지식 / #6-6 교과서의 텍스트 / #6-7 버림받은 교과서 / #6-8 평가와 인재 / #6-9 글 읽기의 의미


강연문의

010-5299-1094

hmcedu150@hanmail.net